전체 글54 [경제금융용어 700선] - 11개(240417) 1. 래퍼곡선(Laffer Curve) 조세수입과 세율 간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세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할 때 조세수입은 상승하다가 정점 찍고 다시 하강 →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t*)을 넘지 않았다면 세수 증대를 위해 세율 올려야함 →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을 넘었다면 감세를 통해 세수증대 2. 조세부담률 국민계정에서 조세수입이 국민총소득(GNI)에서 차지하는 비중 *국민계정 일정기간중의 국민경제의 활동결과와 일 정시점에서의 국민경제의 자산 및 부채 상황을 계정형태로 나타낸 국민경제 의 종합재무제표 국민 전체의 조세부담 정도를 나타내 주는 지표(조세누진정도, 국가의 조세징수능력 등에 따라 결정) 조세부담률이 높다 : 국민의 소득에서 세금으로 납부하는 비중이 높다 조세부담률 = (.. 2024. 4. 17. Chart-based Reasoning: Transferring Capabilities from LLMs to VLMs (공부기록 6일차, 240416) PaLI-3 architecture에 pre-training recipe : consists of two backbones, ViT-2B and TextEncoder UL2-3B Pre-training: Chart2Table Mixture unfrozen ViT에 대해 수행한다. 여러 Chart to Table 데이터 mixture을 사용해 pretraining을 수행한다. Fine-tuning: Multi-task Loss two ways of incorporating the rationales available in the extended datatset. 1. Single-Task setup changing the target task from answer to rationale, answer 2... 2024. 4. 17. [경제금융용어 700선] - 10개(240416) 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계부채의 부실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소득흐름, 금융 및 실물자산 등 종합적으로 고려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 :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측면에서 평가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ist Ratio) :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자산측면에서 평가 DSR과 DTA를 결합 산출한 지수가 HDRI이다. 각각 40%, 100%일때 100의 값을 가지며, 100을 초과하는 가구는 '위험가구'이다. 채무상환 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이므로, 당장에 채무이행을 할 수 없는 임계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2. 담보안정비율(LTV, Loan to Value ratio) 자신의 담보 가치에 대한 대출 비율 Ex : 아파트 감정가.. 2024. 4. 17. Amazon Stock Forecasting in PyTorch with LSTM Neural Network (Time Series Forecasting) | Tutorial 3 (240415, 공부기록 5일차) 막연한 꿈 금융시계열 마스터해서 부자되기 의 첫스텝의 첫스텝 LSTM time series forecasting이다 사실 저번주 쯤에 한 번 시도해 봤는데, 텐서가 뭔지, 차원이 뭔지도 잘 모르는 상태여서 안 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그래서 아주 약간의 pytorch지식을 장착한 후 재도전한다. lecture Reference : https://www.youtube.com/watchv=q_HS4s1L8UI&list=PLKYEe2WisBTHmsTdhjaQydI58tI7pFCDT&index=3 가르쳐주셔 감사함니다.. 강의 따라한 Colab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YXWyVCD6LxNXdWIvqI6iODfcpiH6Mcmt?usp=sharing Googl.. 2024. 4. 16. [ML/DL]BO - Bayesian Optimization (240414, 공부기록 4일차) 작성자의 능지 수준 Bayesian Optimization이 그냥 하이퍼파라미터 최적값 찾아주는 라이브러리다~ 의 지식만 가지고 공부를 해 보고 기록한 내용입니다. reference : https://www.youtube.com/watch?v=w9D8ozS0oC4 Overview Probabilistic surrogate model과 acquisition function에 기반하여 판단 observeation : 이미 test해 봤던 hyperparameter set 실제 loss가 어떻게 될 것인가! surrogate model이 추정 실선 : 추정값, 평균 포함 blue area : 오차범위 포함한 예상값 기존 observation보다 성능 좋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치 acquisition func.. 2024. 4. 14. [PyTorch] - Deep Learning Hyperparameter Tuning in PyTorch | Making the Best Possible ML Model (240414, 공부기록 3일차) 사실 어제가 3일차 였어야 하지만 공부를 너무 대충 하고 올렸기에.. 3일차는 이것으로 하는것으로하도록하겠습니다 그 지난번 CNN on Fashion MNIST 에 있는 코드로 진행 예정! 2024.04.12 - [공부기록/[PyTorch]] - [PyTorch] - CNN on Fashion MNIST(240411 , 공부기록 1일차) [PyTorch] - CNN on Fashion MNIST(240411 , 공부기록 1일차) Colab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PoE9q4uWwayPGQLB7aClKecpuYRsudn2?usp=sharing PyTorch Tutorial1 : Training a CNN Classifier on Fashion MNIST.i.. 2024. 4. 14.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