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5

[경제금융용어700선] - 14개(240423) 1. 국채 국가가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 국고채권이 대부분 : 적자재정시 재원 2. 규모의 경제(economics of scale) 일부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하여,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현상 초기 생산 단계에서 막대한 투자 비용이 들지만, 생산에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사업(철도, 통신, 전력) 생산 시작 이후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평균생산비용도 감소 3. 범위의 경제(economics of scope) 여러 제품을 같이 생산할 경우가 개별 기업이 한 종류의 제품만을 생산하는 경우보다 평균 생산비용이 적게 들 때 Ex) 연구개발/판매/생산 같이 하면서 제품 종류만 달리할 때 4.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핀테크 기업이 현행 규제를 적용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2024. 4. 24.
[경제금융용어 700선] - 13개(240422) 1. 수입유발계수 최종수요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산업별로 유발되는 수입액 단위, 형태에 따라 산업별 수입유발계수 : 수입투입계수표 × 생산유발계수표 최종수요 항목별 수입유발계수 : 항목별 최종수요에 의한 수입유발액(소비, 투자, 수출, ...) / 최종수요액 2. 생산유발효과 최종수요의 변화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x) 자동차 수요 증가 → 엔진, 타이어 등의 중간재 생산 → 고무, 타이어코드 등 원재료 생산 생산유발효과는 산업간의 수급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수행됨 생산유발계수의 크기로 측정 생산유발계수 :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했을 때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 산업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생산액 수준 생산유발계수 클 수록 국내 생산에 미치는 영향도 큼 3. 고용유발효과/취업유발효과 노동유발효과 :.. 2024. 4. 23.
[경제금융용어 700선] - 12개(240418) 1. 거시건전성 정책(macroprudential policy) 경제전체의 금융안정을 위해 system risk를 억제하는 정책 목적 system risk에 대한 선제적 대응 과도한 금융불균형 축적 억제 급격한 되돌림 현상(unwinding) 완화 금융시스템의 복원력 강화 금융연계성 제어 → 금융위기의 발생가능성,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spillover effects)을 최소화 2.경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diffusion index) 경기의 변화방향 파악(변동 진폭, 속도 등은 측정 안 함) → 경기의 국면, 전환점을 식별하는 지표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 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 but 각 경제부문간의 상관관계.. 2024. 4. 18.
[경제금융용어 700선] - 11개(240417) 1. 래퍼곡선(Laffer Curve) 조세수입과 세율 간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세율이 0%에서 100%로 증가할 때 조세수입은 상승하다가 정점 찍고 다시 하강 →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t*)을 넘지 않았다면 세수 증대를 위해 세율 올려야함 → 세율이 세수가 가장 많은 수준을 넘었다면 감세를 통해 세수증대 2. 조세부담률 국민계정에서 조세수입이 국민총소득(GNI)에서 차지하는 비중 *국민계정 일정기간중의 국민경제의 활동결과와 일 정시점에서의 국민경제의 자산 및 부채 상황을 계정형태로 나타낸 국민경제 의 종합재무제표 국민 전체의 조세부담 정도를 나타내 주는 지표(조세누진정도, 국가의 조세징수능력 등에 따라 결정) 조세부담률이 높다 : 국민의 소득에서 세금으로 납부하는 비중이 높다 조세부담률 = (.. 2024. 4. 17.
[경제금융용어 700선] - 10개(240416) 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계부채의 부실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소득흐름, 금융 및 실물자산 등 종합적으로 고려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 :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측면에서 평가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ist Ratio) :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자산측면에서 평가 DSR과 DTA를 결합 산출한 지수가 HDRI이다. 각각 40%, 100%일때 100의 값을 가지며, 100을 초과하는 가구는 '위험가구'이다. 채무상환 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이므로, 당장에 채무이행을 할 수 없는 임계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2. 담보안정비율(LTV, Loan to Value ratio) 자신의 담보 가치에 대한 대출 비율 Ex : 아파트 감정가.. 2024.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