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ck

[경제금융용어700선] - 14개(240423)

by RiverWon 2024. 4. 24.

1. 국채

국가가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

국고채권이 대부분 : 적자재정시 재원


2. 규모의 경제(economics of scale)

일부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하여,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현상

초기 생산 단계에서 막대한 투자 비용이 들지만, 생산에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사업(철도, 통신, 전력)

생산 시작 이후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평균생산비용도 감소


3. 범위의 경제(economics of scope)

여러 제품을 같이 생산할 경우가 개별 기업이 한 종류의 제품만을 생산하는 경우보다 평균 생산비용이 적게 들 때

Ex) 연구개발/판매/생산 같이 하면서 제품 종류만 달리할 때


4.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핀테크 기업이 현행 규제를 적용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금융상품과 비즈니스모델을 시험할 수 있는 공간이나 제도

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시장(market)에 접근할 수 있는 시간과비용을 줄임

② 혁신기업의 자금조달을 쉽게함

③ 더 많은 혁신적인 상품이 시험되고 시장에 도입될 수 있음

④ 규제기관이 미리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소비자보호 안전장치 확보


5. 핀테크

finance + technology

traditional fintech

기존 금융서비스의 가치사슬 안에서 그 서비스의 효율 높이는 역할

기존 금융서비스를 자동화하려는 금융회사가 가치사슬의 핵심에 위치하고 IT기업은 이를 보조하는 역할

emergetn fintech

IT기업이 가치사슬의 핵심을 맡고 기존 금융서비스 전달체계를 변혁하여 파괴적 (disruptive) 속성을 가짐


6. 로보어드바이저

robot + advisor

AI, 알고리즘, 데이터 등으로 투자성향, 리스크 분석

코스콤(KOSCOM)의 테스트 베드센터 심사를 통과해야 안전성 좀 검증


7. 마샬의 k(Marshallian k)

경제 전체의 명목소득 대비 통화량 보유 비율

 

명목국민소득이 PY이고 화폐의 유통속도가 V

화폐의 수요 

거래수량설 방정식 MV=PY에 따르면 M=1/V×PY=kPY의 관계가 도출된다. 따라서 마샬의 k는 화폐 유통속도의 역수와 동일한 값을 갖는 상수에 해당

k는 M^S=M^d=kPY에 의거 한 나라의 경제규모 대비 통화공급의 적정 수준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기도 함


8. 매매보호 서비스(escrow, 에스크로)

신용관계가 불안정한 전자상거래 시 중개역할을 하는 서비스

소비자가 지불한 대금→제삼자 →판매자에게 대금 송금 →물품발송


9. 매몰비용(sunk cost)

이미 지급되어 다시는 회수할 수 없는 비용

기회비용과는 반대로, 무엇을 선택하든 지급할수밖에 없는 비용

이미 지급된 시점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고 더이상 포기할 것도 없음 → 기회비용 0

→ 선택 시 매몰비용은 제외하고 생각

매몰비용 자꾸 생각하다 손실만 커짐 → 매몰비용의 오류


10. 매출액영업이익률

표준치가 존재하지 않아 동종 업종의 평균치 / 과거실적과 비교해 좋고 나쁨 판단


11. 원금리스크(principal risk)

외환결제리스크의 대표적인 리스크

매도통화를 이미 지급하였거나 매도통화의 지급을 취소할 수 없는 상황에서 거래상대방이 파산하는 경우 매입통화를 전액
수취하지 못하는 리스크


12. 유동비율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자산이 얼마나 되는가

= 단기지급능력 판단 지표

유동비율 높을 수록 능력 양호

과하단 유동자산 보유는 효율성 떨어뜨려 수익저해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 100


13. 인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물가 :  개별상품의 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

통상 연 4~5% 정도의 물가상승률이 관측 : 인플레이션


14. 디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하락

원인 : 과잉공급, 자산거품 붕괴, 과도한 긴축정책, 생산성 향상, ...

 

Ultimately, 통화의 양이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을 때 발생으로 화폐가치 상승, 물가하락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 재분배 발생